프롤로그. 사람을 지향하는 데이터를 꿈꾸며
1부. 우리가 원하는 지리 데이터
1. 데이터 덕택에 행복하십니까?
2.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데이터
3. 데이터 시각화 전략
4. 데이터와 인본주의
5. 소명의식과 열정
6. 당사자와 전문가
7. 골목에서 일어나는 혁신
2부. 골목지리학이란 무엇인가?
1. 지리학 전성시대
2. 매크로 지리학과 마이크로 지리학
3. 지리학, 데이터와 결합하다
4. 골목지리학이라는 발상
5. 골목지리학의 실제
6.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사회 가치와 골목지리학
7. 골목지리학의 철학
3부. 지역 난제 해결에 도전한다
1. 정책 효과를 골목길 구석까지
2. 아파트에 숨은 복지 사각지대
3.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 반지하 거주자의 안전과 삶의 질 개선
4. 노인 돌봄 전달 체계 개편을 위한 골목지도: 경기도 화성시
5. 코로나19 예측과 대응
6. 저층 주거지 화재 예방을 위한 골목지도: 서울특별시 은평구 3개 행정동
7. 생활 친화 시설 입지 분석과 정책 수요 예측: 경기도 하남시
8. 공공 일자리 수요 예측 분석: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4부 지방 행정과 골목지도
1. 데이터 기반 행정 과학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2. 주차 행정을 위한 골목지도
3. 문화 행정: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세종특별자치시
4. 질병 관리 행정: 충청남도 아산시
5. 상생 협력 행정: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6. 서민 금융: 경기도 고양시
7. 생활체육 행정: 서울특별시 중랑구
8. 방범 행정: 서울특별시 성북구
9. 대중교통 행정: 세종특별자치시